컴퓨터 사이언스21 시스템 구조 시스템 구조 Mode bit 사용자 프로그램의 잘못된 수행으로 다른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호 장치 사용자 모드(1) : 사용자 프로그램 수행 커널 모드(모니터 모드, 시스템 모드)(0): 운영체제 코드 수행 보안을 해칠 수 있는 중요한 명령어는 모니터 모드에서만 수행이 가능하다. Interrupt나 Exception 발생시 하드웨어가 mode bit을 0으로 바꾼다. 사용자 프로그램에 CPU를 넘기기 전에 mode bit을 1로 바꾼다. Interrupt line cpu는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기 전에 Interrput line을 확인하고 발생한 Interrupt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Interrupt가 있으면 유저 모드에서 커널모드로 변경되어 Interrupt에 대한 .. 2023. 2. 26. 운영체제 개념 운영체제란?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 및 다른 모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 좁은 의미의 운영 체제 : 커널,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메모리에 상주하는 부분 광의의 운영체제 : 커널 뿐 아니라 각종 주변 시스템 유틸리티를 포함한 개녕 운영체제 목적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주어진 자원으로 최대한의 성능을 내도록 관리 -> 효율성 특정 사용자/프로그램에 지나친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 형평성 운영체제 분류 동시 작업 가능 여부 단일 작업 한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한다. MS-DOS 프롬프트 상에서는 한 명령의 수행을 끝내기 전에 다른 명령을 수행시킬 수 없음 다중 작업 동시에 두개 이상의 작.. 2023. 2. 26. 전송 계층 전송 계층에 위치한 대표 프로토콜 TCP/UDP는 공통적으로 크게 두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multiplexing/demultiplexing error checking 전송 계층의 역할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multiplexing 여러 소켓으로 부터 데이터를 모아 헤더를 구성해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 헤더에는 목적지 IP 주소와 목적지 포트가 포함된다. demultiplexing 헤더 정보를 바탕으로 올바른 socket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 TCP 통신은 송신 IP, 송신 포트, 수신 IP, 수신 포트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해당하는 socket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반면에 UDP 통신은 수신 IP, 수신 포트만 활용해 해당 socket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UDP.. 2023. 2. 19.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netword edge에 있는 host들이 동작하는 계층으로 우리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들이 동작하는 계층이다. 클라이언트 서버 아키텍쳐 (1) 서버 서버는 24시간 데이터를 제공해야하고 고유한 IP 주소를 갖는다. (2) 클라이언트 서버와 통신하고 네트워크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있지는 않는다. 동적인 IP 주소를 가질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전송 기능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data integrity : 데이터 신뢰성 timing : 적시성 throughput : 처리량 security : 보안 현재 전송 계층에서는(tcp) data integrity만 보장해주고 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cp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 2023. 2. 19.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