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사이언스21

링크 계층 - Wireless Wireless(무선 인터넷) host에서 Gateway router까지(single hop) 링크 없이 네트워크 연결이 이뤄지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 Wireless는 Infrastructure(AP, Access Point)가 갖춰진 상황에서 single hop 형태로 구현된다. Wired Link VS Wireless 데이터 전송 일관성 유선 링크는 케이블이 외부 환경에 차단되어있기 떄문에 거리와 상관없이 일관된 신호 세기를 보장한다. 무선 링크는 AP에서 거리가 멀어질 수록 신호 세기가 exponential 하게 하락한다. Wireless는 Hidden terminal problem이 발생한다. 두 host간 거리가 멀면 서로의 신호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CSMA/CD 방식을 이용해 Colli.. 2023. 3. 15.
링크 계층 - Switch Swtich Collision 도메인을 분리 시켜 같은 LAN의 여러 host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Switch 내에는 맥주소와 interface 넘버가 매칭 되어 있는 Switch 테이블이 있다. 프레임에 들어오는 dest Mac 주소를 이 Switch 테이블에서 찾아 데이터를 전달한다. Switch는 Switch끼리도 연결될 수 있다. Self-learning Switch가 Switch 테이블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먼저 데이터 요청이 들어오면 source의 맥주소와 그 요청이 들어온 Interface 넘버를 테이블에 기록한다. dest 맥주소의 interface 넘버가 Switch 테이블에 없다면 source를 제외한 연결된 모든 interface로 다 전달한다. (flood) .. 2023. 3. 14.
링크계층 - LAN LAN(Local Area Network) router 없이 직접 통신이 가능한 host들(subnet)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LAN에 속한 host들은 미디엄을 공유한다. Ethernet MAC 프로토콜의 일종 Ethernet frame IP 패킷을 감싸는 링크계층의 데이터 단위 destination address(48bit): Gateway Router의 맥 주소 source address(48bit): 자신의 맥 주소 type: 상위 레이어의 프로토콜 Ethernet CSMA/CD Ethernet도 충돌을 피하기 위해 CSMA/CD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CSMA/CD 에서의 재전송은 Collision이 발생했을 때만이다. Collision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유선랜 상황에서는 프레임이 무조겅 Gate.. 2023. 3. 14.
링크계층 - MAC 프로토콜 링크 계층 링크 계층의 전달 매체는 broadcast medium이기 때문에 하나의 host에서 발생시킨 데이터는 모든 호스트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여러 호스트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게이트웨이 라우터에 데이터가 섞여 도달할 수 있다(collision). 링크 레이어는 여러 호스트가 공유하고 있는 링크에서 데이터 충돌 없이 전달하기 위한 계층이다. 네트워크 계층의 패킷은 링크 계층의 프레임에 데이터 부분에 담아 전달된다. MAC(Medium Access Control) 링크 계층에서 발생하는 Collis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체 접근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이다. 이상적인 MAC 프로토콜은 다음을 만족한다. 대역폭 R bps 채널이 있을 때 하나의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R 대역폭을.. 2023. 3. 13.